728x90
1. 숫자함수
- ABS(n) : ABS함수는 절대값을 계산하는 함수입니다.
- CEIL(n) : CEIL함수는 주어진 값보다는 크지만 가장 근접하는 최소값을 구하는 함수입니다.
- EXP(n) : EXP함수는 주어진 값의 e의 승수를 나타냅니다. e는 2.171828183..입니다.
- FLOOR(n) : FLOOR함수는 주어진 값보다 작거나 같은 최대 정수값을 구하는 함수입니다. (CEIL 함수와 비교해 보세요. )
- LN(n) : LN함수는 주어진 값의 자연로그 값을 반환합니다.
- MOD(m, n) : MOD함수는 m을 n으로 나누어 남은 값을 반환한다. n이 0일 경우 m을 반환합니다.
- POWER(m, n) : POWER함수는 m의 n승 값을 계산합니다.
- ROUND(n, [m]) : ROUND함수는 n값의 반올림을 하는 함수로 m은 소숫점 아래 자릿수를 나타낸다.
- SIGN(n) : SIGN함수는 n<0일 경우 -1DFM N=0일 경우 0을 N>0일 경우 1을 반환합니다.
- SQRT(n) : SQRT함수는 n값의 루트값을 계산한다. n은 양수여야 합니다.
- TRUNC(n, m) : TRUNC함수는 n값을 m 소숫점 자리로 반내림한 값을 반환합니다. (ROUND 함수와 비교해 보세요.)
2. 문자열 처리함수
- CONCAT(char1, char2) : CONCAT 함수는 Concatenation의 약자로 두 문자를 결합하는 역할을 합니다. "||" 연산자와 같은 역할을 합니다.
- INITCAP(char) : 주어진 문자열의 첫 번째 문자를 대문자로 변환시켜 줍니다.
- LOWER(char) : 문자열을 소문자로 변환 시켜 줍니다.
- UPPER(char) : 문자열을 대문자로 변환 시켜 줍니다.
- LPAD(char1, n [,char2]) :왼쪽에 문자열을 끼어 놓는 역할을 합니다. n은 반환되는 문자열의 전체 길이를 나타내며, char1의 문자열이 n보다 클 경우 char1을 n개 문자열 만큼 반환합니다.
- RPAD(char1, n [,char2]) : LPAD와 반대로 오른쪽에 문자열을 끼어 놓는 역할을 합니다.
- SUBSTR(char, m ,[n]) : SUBSTR함수를 이용하여 m 번째 자리부터 길이가 n개인 문자열을 반환한 합니다. m이 음수일 경우에는 뒤에서 M번째 문자부터 반대 방향으로 n개의 문자를 반환합니다.
- LENGTH(char1) : 문자열의 길이를 리턴 합니다.
- REPLACE(char1, str1, str2) : REPLACE는 문자열의 특정 문자를 다른 문자로 변환 합니다.
- INSTR : 문자열이 포함되어 있는지를 조사하여 문자열의 위치를 반환합니다. 지정한 문자열이 발견되지 않으면 0이 반환 됩니다.
- TRIM : 특정한 문자를 제거 합니다. 제거할 문자를 입력하지 않으면 기본적으로 공백이 제거 됩니다. 리턴값의 데이터타입은 VARCHAR2 입니다.
3. 날짜 처리함수
- LAST_DAY(d) : LAST_DAY함수는 달의 마지막 날의 날짜를 반환합니다.
- ADD_MONTHS(a, b) : ADD_MONTHS 함수는 a의 날짜에 b의 달을 더한 값을 반환 합니다.
- MONTH_BETWEEN(a1, a2) : MONTH_BETWEEN은 a1과 a2 사이의 달의 수를 NUMBER형 타입으로 반환 합니다.
- ROUND(d[,F]) : ROUND 함수는 F에 지정된 단위로 반올림 합니다. F가 연도라면 연도 단위로 반올림 합니다.
4. 변환함수
- TO_CHAR : TO_CHAR함수는 DATE형, NUMBER형을 VARCHAR2형으로 바꿔줍니다.
- TO_DATE : TO_DATE함수는 CHAR, VARCHAR2형을 DATE 타입으로 변환합니다.
- TO_NUMBER : TO_NUMBER함수는 CHAR, VARCHAR2의 데이터 타입을 숫자형식으로 변환합니다.
5. 기타함수
- NVL
- NVL 함수는 NULL값을 다른 값으로 바꿀 때 쓰입니다.
- 모든 데이터 타입에 적용 가능합니다.
- 전환되는 값의 데이터 타입을 일치시켜야 합니다.
- DECODE
- DECODE 함수는 데이터 들을 다른 값으로 바꾸어 줍니다.
- 형식 DECODE(VALUE, IF1, THEN1, IF2, THEN2...)
- VALUE 값이 IF1일경우에 THEN1값으로 바꾸어 주고 VALUE값이 IF2일경우에는 THEN2값으로 바꾸어 줍니다.
- DUMP : DUMP는 바이트 크기와 해당 데이터 타입 코드를 반환합니다.
- GREATEST : GREATEST함수는 검색값 중에서 가장 큰 값을 반환 합니다.
- LEAST : LEAST함수는 GREATEST함수와 반대로 가장 작은 값을 반환합니다.
- UID : 현재 사용자의 유일한 ID번호를 반환 합니다.
- USER : 현재 오라클을 사용하는 사용자를 VARCHAR2형식으로 반환 합니다.
- USERENV : USERENV 함수는 현재 세션의 환경 정보를 반환합니다.
- ENTRYID : 사용 가능한 Auditing entry Identifier를 반환합니다.
- LABEL : 현재 세션의 Label을 반환합니다.
- LANGUAGE : 현재 세션에서 사용중인 언어와 테리토리 값을 반환합니다.
- SESSIONID : Auditing(감사) Session ID를 반환 합니다.
- TERMINAL : 현재 세션 터미널의 OS ID를 반환 합니다.
- VSIZE : 해당 문자의 BYTE수를 반환 합니다. 해당 문자가 NULL이면 NULL값이 반환 됩니다.
'Oracle > DB' 카테고리의 다른 글
[Tuning] Oracle Tuning (0) | 2016.08.09 |
---|---|
[Database] LOCK 문제를 일으키는 SQL 명령 찾기 (0) | 2016.08.09 |
[Tuning] statspack 분석 방법 (0) | 2016.08.09 |
[Database] srvctl commands for 10g RAC and 11g R2 RAC (0) | 2014.12.16 |
[SQL] 10진수 <-> 2진수 변환 SQL (0) | 2014.11.10 |